분류 전체보기 (168)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랑이 오래 가는 비밀 | 윤홍균 사랑이 오래 가는 비밀 : 상대방의 방어기제를 파악하라 | 윤홍균 사랑에 빠져 보지 않은 사람은 누군가와 사랑에 빠져 보길 바랄 것이고, 사랑에 빠진 사람은 그 사랑이 지속되길 바랄 것이다. 사랑에 대해서는 참 많은 이야기가 있다. 내가 기억하는 한 실패하지 않는 사랑의 방법은 '내가 주고 싶은 사랑'이다. 받고 싶고, 이유가 있는 사랑은 받지 못할때, 이유가 사라질때 끝 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전히 나는 사랑을 꿈꾼다. 그러기에 강연에서이야기하는 '내가 원하는 건'이라는 말을 붙여서 세련되게 자신의 방어기제를 표현해보라는 것을 실천하고 싶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다. 나의 방어기제는 무엇일까? 나의 방어기제를 알아야 이야기 해줄 것 아닌가? 선뜻 나의 방어기제가 무엇인지 떠오르지 않는.. 마음근육 튼튼한 내가 되는 방법| 박상미 마음근육 튼튼한 내가 되는 방법 | 박상미심리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마음 근육'이라는 이라는 단어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듯 하다. 나만 그런줄 알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심리적 우울과 마음의 고통을 갖고 살아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나만 아프다고 나만 봐달라고 할 수 없음을 알고 있기에 스스로 치유를 해보겠다고 노력 중이다. 이 작업은 쉽지 않은 작업임을 알고 있다. 상처 입은 나를 달래고, 대화해야 하지만, 피하고 싶다. 외면하고 싶은 마음이 더 커서 얼마 진행하지 못하고 손을 놓아 버린다. 그러니 조금 나아지는 것 같다가도 재자리 생각과 감정은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것을 실행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박상미 님이 해주신 이야기 가운데 감사일기, 칭찬일기가 .. 가장 어두운 곳에서 가장 빛나는 법 | 김정화 가장 어두운 곳에서 가장 빛나는 법 | 김정화 '다른 사람을 도우라고?', '봉사를 하다 보면 삶의 의미를 찾는다고?'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런 이야기들 조차 사치로 느껴진다.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너는 아직 추락할 곳이 남아서 그래, 더 떨어져 봐야 세상을 보는 눈이 바뀔 거야!'라고 말할 수 있는가? 스스로의 고통 속에 매몰되어 있는 사람들에게 타인을 바라보라 이야기하기는 어려운 듯하다. 손을 내밀어 끌어올리려 해도, 이들의 도움을 주는 사람까지 심연으로 끌려 들어내리는 마이너 한 에너지는 의외로 힘이 강하다. 김소연 님의 강연을 들으면서 나의 내면은 싸움의 연속이었다. 나의 경우를 보면 내가 필요할 때 손을 내밀어 준사람이 있었고, 반대로 손을 내밀어 준 적도 .. 효과적인 작업 멘트 효과적인 작업 멘트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다보면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더군다가 일을 하고 있는 동안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업무상 만나는 사람들의 경우는 깊은 관계를 갖을 필요는 없지만,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은 분명 필요한 일인데, 내양적인 사람 중 하나인 나로서는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 관계를 이어나간다는 것이 쉬운 일만은 아니다. 식사 약속을 잡았지만, 침묵속에서 조용히 밥만 먹을 수도 없고 어떻게 관계를 맺어가야 할까? 한번에 익숙해 지지는 않겠지만, 조언으로 기억해야 할 것 같아 옮겨 보았다. || 상투적인 작업 멘트가 성공률이 낮은 이유 작업 멘트(처음말걸기, scripted behaviors, 이미 존재하는 흔한 말) "저어, 시간 .. 내 아이의 뇌에 어떤 스토리를 심을 것인가 | 장동선 내 아이의 뇌에 어떤 스토리를 심을 것인가 | 장동선아이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것은 모두 같을 것이다. 그런데 잘 키우는 것은 쉽지 않다. 어쩌면 나 조차도 잘 살아가고 있지 못한데 아이에게 무엇을 말할까? 결국 물질적인 것을 얻기 위한 수단을 강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는 이유가 물질이 없어서 힘들어 봤기 때문에 또는, 그 물질을 소유하기 위해 힘들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부모는 아이에게 나의 이야기를 보여 줄 수는 있다. 나의 이야기를 아이에게 강요할 수도 있겠지만 나의 이야기가 아이의 이야기가 되지는 않는다. 내가 부모님의 이야기를 나의 이야기로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듯이 말이다. 우리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써나간다. 때로는 희극, 때로는 비극을.. 할 일은 많지만 아직도 누워있는 당신에게 | 이광민 할 일은 많지만 아직도 누워있는 당신에게 | 이광민 게으른 뇌를 탓하며 무기력하게 있는 나의 모습을 본다. '왜 무기력에서 벗어나지 못하나?'에 대한 질문의 답은 '학습되어졌기 때문이다.'라는 것을 알고 있고 미국의 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하 실험(개에 대한 전기 충격 실험)역시 알고 있다. 하지만 이런것들이 나를 일어나게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학습된 무기력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좌절이 반복되다보면 결국 극복가능한 스트레스가 와도 극복하려 시도하지 않는 자포자기 상태가 되어 버린다. 이런 무기력에 이유로 사회적 트라우마(사소하더라도 반복되면 무기력해짐), 너무 높은 목표(SNS의 유명 인플루언서와의 비교)라는 부분도 잘 알려진 이야기이다. 이렇게.. [Book] 회복탄력성 - 김주환 회복탄력성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목차| 프롤로그 | 회복탄력성은 소통능력과 진정한 행복감에서 온다PART 01 마음의 근력, 회복탄력성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역경을 극복하는 힘역경에 대처하는 사람들-서울대 이상묵 교수의 경우-SBS 그것이 알고싶다-에이미 멀린스의 경우-패트리샤 휘웨이, 조앤 롤링, 안데르센의 경우-시한부 생명을 선고받은 경우회복탄력성을 발견하다-다니엘 캐니만 교수의 대장내시경 실험-하와이 카우아이 섬에서 있었던 일PART 02 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는 얼마인가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의 개발-회복탄력성에 대한 관심나의 회복탄력성 지수는-[KRQ-53 테스트]회복탄력성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의 뇌는 어떻게 다른가-실수를 대하는 긍정적인 태도어떻게 나의 뇌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 당신의 미래를 결정할 두 가지 역량 | 서용석 당신의 미래를 결정할 두 가지 역량 | 서용석미래를 결정할 두 가지 역량 중 하나가 회복탄력성이라는 부분에 놀랐다. 회복탄련성이 중요한 것은 알고 있고 따로 공부하고 있기도 하지만, '필수'라고 이야기할 정도의 중요도를 갖고 있다니. chatGPT 등장으로 시대를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하고 있는 듯하다. 이전에는 기술 발전에 잃어가는 인간성회복을 위한 인문학. 기술에 인문학 적용을 이야기 했다면 이제는 인간의 역할을 대체하고 있는 기술들 앞에서 대체 불가능한 나만의 이야기를 갖고 있어야 하는 게 기본이라, 그 기본 위에 기술의 활용을 이야기하고 있다. 즉, 기술에 인문학을 접목하기위한 노력에서, 나답게 살기 위해 어떤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으로 방향이 바뀐 듯하다.15분 동안 다루어진 강연.. 이전 1 2 3 4 5 ··· 21 다음